문득 멈춰있는 에스컬레이터를 걷다가 생각났다.
분명 에스컬레이터는 움직이지 않는데 왜 움직이는듯한 느낌이 들고 묘한 감각을 받을까?
궁금해서 우리 LLM(거대언어모델) 형님들에게 물어봤다.






총 6개의 AI에게 같은 질문을 했고 답변들은 비슷했다.
하지만 각 AI별 답변 형태는 달랐고, 이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는 개인별 선호가 다를 듯하다.
질문에 대한 답을 정리해 보면
우리가 익숙했던 행동에 대해 뇌의 착각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즉, 시각과 촉각의 차이가 혼란을 일으켜 묘한 감각을 일으키는 것이다.
지하철에 있는 일자 무빙워크나 대형마트에 있는 무빙워크를 생각했을 때 작동하지 않는다면 위와 비슷한 느낌이 든다.
이는 에스컬레이터와 같은 방식으로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라 생각한다.
LLM 같은 질문별 대답방식
LLM | 방식 | 개인 비평 |
ChatGPT(무료) | 서술식, 주요 단어 BOLD, 간단 요약 | 짧고 분명해서 좋지만 풀어 설명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 아쉬웠다. |
뤼튼 | 열거형, 추천 질문 | 다른 추가적인 제안을 해주어 좋았다. 따로 저장하는 기능도 있어 기록 보관하기 유용해 보인다. but 줄 간의 띄어쓰기가 되어있지 않아 살짝 불편함을 느꼈고,![]() |
perplexity | 구조적 구분, 상단 Sources, 관련 질문 | 자신이 대답한 것을 어디에서 가져왔는지 하이퍼링크를 통해 보여주어 신뢰성을 확보한다. but '이 정보가 확실한건지, 그 사람이 잘못된 정보를 가지고 있었더라면..?' 라는 생각이 들었다. |
Claude | 열거형, 길지도 짧지도 않음 | 글씨체가 마음에 들지 않아 바꿀 수 있냐 물어봤더니 클로드 직접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한다. |
CLOVA X | 열거형, 전문 용어, 전문 지식 설명 | 전문 용어를 통해 설명해주는 것이 신뢰성 있어보인다. but 가독성 부분에서 아쉽다고 생각한다. |
Gemini | 해요체, FAQ 형식 | 질문 응답 트리구조로 미리 설명해 주는 것이 좋았고, 사람이 설명하는 것 같아 읽기 편했다. but 전문용어가 부족해 보인다. |
(저자의 주관적인 입장으로 생각을 풀었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떤 AI방식의 답변을 선호하시나요?